"문경새재 물박달나무/ 홍두깨 방망이로 다 나간다/ …/
홍두깨 방망이 팔자 좋아/ 큰아기 손질에 놀아난다…."
경북 문경에서 수안보 쪽으로 문경새재를 넘다 보면
길 왼편에 '문경새재 아리랑 비(碑)'가 서 있다.
대한제국 첫 번째 왕 고종의 특사로 활동한 미국인 호머 헐버트(1863~1949)가
1896년 최초로 서양식 악보로 채록해 외국에 소개한 구전 ‘문경새재 아리랑’이다.
지난 13일 문경새재 입구에 있는 옛길박물관에서
헐버트의 한국 사랑과 아리랑 사랑을 기념하는
‘문경새재아리랑비’ 제막식이 열렸다.
가로 3m, 세로 2m의 크기의 아리랑비에는 40대 모습의 헐버트 초상화가 새겨졌다.
1896년 헐버트가 직접 아리랑을 영어로 쓴 ‘Korean Vocal Music(한국인의 소리)’
이라는 제목의 서양 악보도 그대로 옮겨졌다.
뒷면엔 ‘헐버트를 기억하고자 기념비를 세운다’는 말도 담았다.
아리랑은 지금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 됐다.
100년 전만 해도 아리랑을 아는 세계인은 거의 없었다.
민초들 입에서 입으로 전해 온 아리랑을
서양식 악보로 처음 정리한 사람이 호머 B 헐버트였다.
문경아리랑은 헐버트가 최초로 채보(採譜)한 아리랑이다. 그는 1896년 아리랑을 세계에 알리는 논문을 쓰며
"아리랑은 한국인들에게 쌀과 같은 것"이라고 했다.
쌀이 한국인의 육신을 지켜줬듯 한국인들은
아리랑을 통해 역사의 애환을 버텨왔다는 뜻이다.
헐버트는 아리랑을 가사도 박자도 제각기 여러 가지로
부르는 한국인들을 두고 '즉흥곡의 명수'라고 했다.
미국인 헐버트는 1886년 스물셋에 이 땅에 왔다.
성(姓)의 음을 따 우리 이름을 할보(轄甫)라고 지었다.
교육자, 의사, 선교사, 언론인, 역사학자, 언어학자, 체육인, 독립운동가…. 헐버트가 한국에 젊음을 바쳐 얻은 호칭은 그렇게나 많았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아우르는 말이 있다.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사람.'
그는 3남2녀를 한국에서 낳았고
그중 딸 하나, 아들 하나를 한국에서 잃었다.
1907년 일제의 핍박을 받아 쫓겨났던 헐버트가
다시 한국을 찾은 것은 1949년 여든여섯일 때였다.
이승만 대통령이 8·15 광복절 기념식에 그를 초청했다.
나라 형편이 좋지 않아 비행기 표도 보낼 수 없었다.
그는 쇠약한 몸으로 미군 군용선을 타고 태평양을 건넜다.
AP 기자가 42년 만에 한국 가는 소감을 묻자 그는 이렇게 말했다.
"오랜 소원이었다.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 땅에 묻히기를 원한다."
그리고 한국 땅에 발 디딘 지 일주일 만에 광복절과 건국 기념행사도 보지 못하고 숨을 거뒀다.
문경새재아리랑비의 건립취지문은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1896년 2월 고종의 외무특사였던 호머 베자릴 헐버트 박사에 의해 발행된
영문잡지『조선유기』에 우리의 아리랑이 서양악보로 처음 기록되었다.
여기에 '문경새재 박달나무 홍두깨 방망이로 다나가네'
의 가사가 있어 우리나라 아리랑 기록상 그 첫 시원을 알려주고 있다.
문경새재는 모든 아리랑의 고개 대명사로 알려져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수많은 사람들의 삶속에 눈물과 애환, 희망과 미래가 녹여져 있는 공간이다.
이에 문경새재 고개에 깃든 아리랑의 역사와 헐버트 박사를 기억하고자 이 기념비를 세운다.
이천십삼년 팔월 십오일
글 문경시장 고윤환 글씨 한국서학회 명예회장 이 곤"
'한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검은돌이 유난히 많은 동네 흑석동 (0) | 2014.02.04 |
---|---|
한강의 발원지 검룡소를 찾아서 (1) | 2013.08.21 |
한강선 방어로 6.25한국전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었다. (0) | 2013.07.31 |
'백선엽 한·미 동맹상' 첫 수상자 워커 장군 (0) | 2013.07.29 |
백헌 이경석의 신도비의 기구한 사연 (0) | 2013.07.17 |